갑작스러운 실직·질병·화재 등으로 생활이 어려워진 분들께 꼭 필요한 제도가 바로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입니다.
2025년 최신 기준으로 자격부터 신청 방법, 실제 지급 금액, 연장 신청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.
이 글 하나만 읽으면 바로 신청 가능합니다!
1. 긴급지원 생계비란? (한 줄 요약)
정의: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가 곤란해진 저소득 가구에게 최대 6개월간 현금을 지급하는 국가 긴급복지 제도
(보건복지부 운영, 긴급복지지원법 제2조)
(보건복지부 운영, 긴급복지지원법 제2조)
2. 2025년 신청 자격 조건 (이것만 확인하세요!)
| 구분 | 기준 (2025년 최신) |
|---|---|
| 소득 | 중위소득 100% 이하 (1인 2,298,000원, 4인 5,400,314원) |
| 재산 | 대도시 2억 4,100만 원, 중소도시 1억 5,200만 원 이하 |
| 금융재산 | 1,000만 원 이하 (생활비 공제 후) |
| 위기 사유 | 실직·휴폐업·질병·이혼·화재·구금시설 출소 등 12가지 |
TIP: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도 중복 신청 가능합니다! (생계급여와 차감 없음)
3. 2025년 지급 금액 (가구원 수별 정확 금액)
| 가구원 수 | 월 지급액 | 최대 6개월 총액 |
|---|---|---|
| 1인 | 620,900원 | 3,725,400원 |
| 2인 | 1,032,900원 | 6,197,400원 |
| 3인 | 1,331,300원 | 7,987,800원 |
| 4인 | 1,629,700원 | 9,778,200원 |
※ 최초 3개월 지급 후, 위기 상황 지속 시 연장 신청을 통해 동일 금액을 최대 6개월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4. 신청 방법 3가지 (2025년 기준, 가장 빠른 순서)
-
전화 신청 (가장 빠름!)
보건복지콜센터 129 → 위기상담 → 당일 방문 조사 약속 (평일 9~18시, 토요일도 가능) -
동주민센터 방문 신청
신분증·통장 사본 지참 → 상담 → 즉시 조사
5. 90%가 놓치는 연장 신청 꿀팁 3가지 (이거 모르면 186만 원 손해!)
- 최초 지원 종료 15일 전부터 연장 신청 가능합니다.
- 소득·재산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미리 통장 정리가 필수입니다!
- “계속 위기 상황”임을 입증하는 서류만 추가 제출하면 99% 승인됩니다.
6. 자주 묻는 질문 TOP 5
Q. 기초생활수급자도 받을 수 있나요?
→ 네! 생계급여와 중복 가능하며, 차감 없습니다.
Q. 카드 돌려막기 중인데 금융재산 1,000만 원 넘어요
→ 대출금은 금융재산에서 제외됩니다. 실제 예금·적금만 계산합니다!
Q. 실직했는데 실업급여 받는 중이에요
→ 실업급여는 소득으로 잡히지만, 소득 기준(중위 100%) 이하라면 신청 가능합니다. (단, 생계비 지원액보다 실업급여가 적을 경우 차액 지원 등 지자체별 확인 필요)
Q. 이혼 소송 중인데 신청 가능할까요?
→ 이혼은 위기 사유에 포함됩니다. 혼인관계증명서(상세) 또는 소장 접수증 등을 제출하면 OK입니다.
Q. 지방에 살아서 서울 기준이 궁금해요
→ 주소지 기준이 적용됩니다! 읍면 지역은 재산 공제 기준이 더 높아 유리할 수 있습니다.
마지막 당부
위기 상황일수록 빨리 신청하는 것이 최고의 선택입니다.
국가가 여러분을 절대 외면하지 않습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