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축제, '백제문화제'가 2025년 가을에도 어김없이 우리 곁을 찾아옵니다. 올해로 71회를 맞이하는 백제문화제는 찬란했던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축제인데요. 특히 올해는 추석 황금연휴 기간과 맞물려 있어 더욱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가득합니다. 공주와 부여, 두 곳에서 펼쳐지는 백제의 향연 속으로 떠나기 전,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이 글 하나에 총정리했습니다.
2025 제71회 백제문화제 기본 정보
방문 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정보입니다. 일정과 장소를 잘 확인하시고 동선을 계획해 보세요.
- 축제 기간: 2025년 10월 3일(금) ~ 10월 12일(일) / 10일간
- 주요 장소:
- 공주시: 금강신관공원, 공산성 일원
- 부여군: 백제문화단지, 구드래, 정림사지 일원
- 입장료: 무료 (일부 체험 프로그램 별도)
- 공식 주제:
- 공주: 세계유산 백제, 동탁은잔에 담다
- 부여: 아름다운 백제, 빛나는 사비
모두가 기다리는 초대가수 라인업
축제의 흥을 한껏 돋워줄 초대가수 라인업은 언제나 큰 관심사죠. 올해도 화려한 가수들이 공주와 부여의 밤을 빛낼 예정입니다.
공주 금강신관공원 주무대 라인업
- 개막식 (10월 3일): 김지현, 김태우, 효린
- 충남교향악단 콘서트 (10월 4일): 박창근, 린지, 윤은화 등
- 폐막식 (10월 12일): 루나퀸, 다이나믹듀오, 코요태
부여 라인업
- 트롯 페스타 (10월 10일): 김연자, 성리, 정미애, 빈예서
- 힙합 공연 (10월 11일): 치타, 머쉬베놈, 키드와인, 디핵
- 폐막 공연 (10월 12일): 이은미, 김다현, 천록담, 임한별
* 위 라인업은 주최 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 공식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놓치면 후회! 꼭 봐야 할 핵심 프로그램
백제문화제는 공주와 부여,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가득합니다. 어떤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세요.
공주에서 즐길 거리
무령왕의 도시 공주에서는 '동탁은잔'을 테마로 한 빛의 향연이 펼쳐집니다.
- 웅진판타지아 '동탁은잔 천오백년의 기억': 동탁은잔의 빛과 문양을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환상적인 공연입니다.
- 웅진성 퍼레이드 & 무령왕의 길: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여 역사의 한 장면을 재현하는 대규모 행렬극입니다.
- 공산성 미디어아트: 세계유산 공산성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화려한 미디어아트 공연은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합니다.
- 드론 라이트 쇼: 개막식과 폐막식 밤하늘을 1,071대의 드론이 화려하게 수놓습니다.
부여에서 즐길 거리
사비 백제의 수도였던 부여에서는 백제의 기상을 느낄 수 있는 웅장한 프로그램이 많습니다.
- 백제역사 문화행렬: 백제 시대의 의상과 문화를 재현한 대규모 시가 행렬입니다.
- 오천결사대 출정식: 계백장군과 오천결사대의 비장한 출정식을 재현한 퍼포먼스입니다.
- 사비궁 콘서트 (트롯/힙합): 다양한 장르의 음악 공연이 축제 기간 내내 펼쳐집니다.
- 백제문화 판타지 퍼레이드: 도심의 밤을 화려하게 물들이는 야간 퍼포먼스입니다.
방문 전 알아두면 좋은 꿀팁
조금 더 편안하고 즐거운 축제 관람을 위해 몇 가지 팁을 준비했습니다.
주차 및 교통 정보
- 축제 기간에는 행사장 주변이 매우 혼잡합니다. 특히 부여 백제문화단지 1, 2 주차장은 혼잡이 예상되니, 약 500m 떨어진 제3주차장(부여군 규암면 신리 4) 이용을 추천합니다.
- 제3주차장에서 행사장까지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니(배차 간격 약 20분)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.
- 모든 주차장은 축제 기간 중 무료로 운영됩니다.
아이와 함께라면?
- 안내소에서 유모차 대여가 가능하며, 수유실이 마련된 'YES키즈존'도 운영됩니다.
- 공주의 '백제마을 고마촌'이나 부여의 '웰컴 투 백제' 등 아이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많으니 꼭 들러보세요.
1500년 전 백제로 떠나는 시간 여행
제71회 백제문화제는 단순한 지역 축제를 넘어, 우리의 위대한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. 화려한 공연, 유익한 체험, 아름다운 야경까지 모두 갖춘 2025 백제문화제에서 잊지 못할 가을의 추억을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.